티스토리 뷰
목차
테슬라 모델Y는 국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수입 전기차 중 하나로, 올해도 많은 소비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 2025년 전기차 보조금 정책이 새롭게 적용되면서 실제 구매 시 체감 가격이 크게 달라졌는데요. 특히 국고 보조금, 지자체 보조금, 그리고 전기차 취득세 감면까지 반영하면 실제 부담해야 할 금액은 공식 가격과 큰 차이를 보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테슬라 모델Y의 최종 실구매가를 비롯해 보조금 정책, 취득세 감면, 주요 옵션 정보를 한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🚗 테슬라 모델Y 최종 실구매가 (2025년, 서울 기준 예시)
트림 |
차량가격 |
국고 보조금 |
지자체 보조금 (서울 기준) |
취득세 (감면 후) |
최종 실구매가 |
---|---|---|---|---|---|
RWD | 56,990,000 | 6,800,000 | 2,000,000 | 1,590,000 | 49,780,000 |
롱레인지 AWD | 63,990,000 | 3,400,000 | 2,000,000 | 2,080,000 | 60,670,000 |
퍼포먼스 AWD | 70,990,000 | 0 | 0 | 2,570,000 | 73,560,000 |

⚡ 2025 전기차 보조금 (국고 + 지자체)
- 국고 보조금
- 5,700만 원 이하: 최대 680만 원
- 5,700만~8,500만 원: 보조금 50% (340만 원)
- 8,500만 원 초과: 보조금 없음 - 지자체 보조금
지역 구분 |
지자체 보조금(원) |
---|---|
서울특별시 | 2,000,000 |
5대 광역시 (부산·대구·인천·대전·울산) | 2,500,000 |
광주광역시 | 4,000,000 |
전라남도 | 3,500,000 |
그 외 지역 (충청·전라·경상·제주) | 3,000,000 |
🔗 내 지역 보조금 확인하기 →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 바로가기


🧾 전기차 취득세 감면 제도
- 차량 기본 취득세 : 차량가격의 약 7%
- 전기차는 취득세 200만 원 + 지방교육세 40만 원 = 최대 240만 원 감면
- 차량가가 3,430만 원 이상이면 최대 감면 적용 → 테슬라 모델Y는 무조건 240만 원 감면 대상
🔧 테슬라 모델Y 주요 옵션 및 사양
구분 |
내용 |
---|---|
기본 옵션 | 19인치 제미니 휠, 오토파일럿(기본 주행보조), 프리미엄 오디오, 파노라믹 글래스 루프 |
선택 옵션 | 20인치 인덕션 휠, 향상된 오토파일럿(Enhanced Autopilot), 완전 자율주행 패키지(FSD) |
주행거리(국내 인증) | RWD: 약 350km / 롱레인지: 약 511km / 퍼포먼스: 약 480km |
성능 | 퍼포먼스: 제로백 약 3.7초, 최고속도 250km/h |
내부 | 15인치 중앙 터치스크린, 무선 OTA 업데이트, 넓은 트렁크·프렁크 |
🔗 더 자세한 옵션 정보는 👉 테슬라 모델Y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


❓ 전기차 지자체 보조금 Q&A
Q1. 지자체 보조금은 차량가액과 상관없이 지원되나요?
아닙니다. 지자체 보조금은 국고 보조금을 받는 차량에 한해 추가 지원됩니다. 따라서 국고 보조금이 없는 차량(예: 차량가 8,500만 원 초과)은 지자체 보조금도 받을 수 없습니다. 즉, 직접적으로 차량가액 제한을 두지는 않지만, 결국 국고 보조금과 연계되기 때문에 차량가 8,500만 원 이하 차량만 지자체 보조금 지원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.
Q2. 지자체 보조금은 누구나 받을 수 있나요?
지자체 보조금은 지역별 예산 범위 안에서 지급됩니다. 대부분 선착순으로 지원되며, 예산이 빨리 소진되는 지역(서울, 경기 등)에서는 연초에 서둘러 신청하지 않으면 혜택을 놓칠 수 있습니다. 또한 일부 지역은 택시·화물차·특수목적 차량에 우선 지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Q3. 지자체 보조금은 국고 보조금과 별도로 신청해야 하나요?
아니요. 국고 보조금과 함께 일괄 신청됩니다.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 바로가기 에서 차량 구매 시 국고 + 지자체 보조금이 동시에 적용되는 구조입니다.

✅ 결론 & 구매 팁
- RWD 모델: 보조금 + 감면 적용 시 4천만 원 후반대 → 가성비 최고
- 롱레인지 모델: 장거리 주행에 유리, 6천만 원 초반대
- 퍼포먼스 모델: 보조금 없음 → 7천만 원대 중반 부담
👉 따라서 “보조금 최대 활용 + 취득세 감면”을 고려하면, RWD 모델이 가장 합리적인 선택으로 보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