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전기차 구매를 계획 중이라면, 보조금 금액 + 세금감면 혜택을 정확히 계산해야 합니다.
    이 글에서는 국고보조금 + 지자체 보조금 + 취득세·등록세 감면까지 반영해 실제 구매가를 쉽게 계산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.


    ✅ ① 전기차 보조금 구조 요약

    구분

    설명

    지급 주체

    국고보조금 전국 공통, 차량 성능(효율·주행거리)에 따라 차등 지급 환경부
    지자체 보조금 지역 예산에 따라 추가 지급, 지역별 차등 시·군·구청

    💡 요약: 전기차 보조금 = 국고보조금 + 지자체 보조금
    ➜ 같은 차라도 사는 지역에 따라 지원금이 다릅니다.

    📊 국고보조금 지원 기준 (2025년 기준 예시)

    차량가 구간

    보조금 지급 비율

    예시 금액

    4,000만 원 미만 100% 약 565만 원 (기아 EV3 등)
    4,000만~5,500만 원 90% 약 500만 원
    5,500만~8,500만 원 50% 약 300만 원
    8,500만 원 이상 지원 제외 -

    ✅ ② 지자체 보조금 및 잔여 예산 확인

    👉 무공해차 통합누리집(ev.or.kr) 접속 

     

    1) 상단 메뉴 "구매 및 지원" 클릭후 "구매조보금 지급현황" 클릭

     

    2) 출고잔여 대수 확인 후 추경 버튼 클릭후 차량별 지원금 확인가능

      지역 선택 : 시·도 → 시·군·구를 선택하면, 아래와 같이 보급대수 / 출고대수 / 잔여대수가 표시됩니다.

    항목

    설명

    예시

    총 보급대수 해당 지역 예산 기준 지원 가능 대수 800대
    출고대수 현재까지 신청된 대수 745대
    잔여대수 아직 신청 가능한 수량 55대 (잔여 있음)

    ⚠️ 잔여대수가 ‘0대’면 보조금 예산이 소진되어 신청이 불가합니다.

          잔여대수가 있으면 추경 버튼 클릭 -> 차종별 국고보조금 + 지자체보조금이 엑셀양식으로 정확히 나옵니다.

     


    ✅ ③ 차량별 국고 보조금 및 지자체 보조금 확인

    👉 무공해차 통합누리집(ev.or.kr) 접속

     

    1) 상단 메뉴 "구매 및 지원" → "구매보조금 지원" 클릭 

     2) 차량별 국고보조금 지원금액 확인 : "국고 보조금 " 클릭

     3) 지역별 지자체 보조금 확인 : "지자체 보조금" 클릭 


    ✅ ④ 취득세·등록세·개별소비세 감면 혜택

    항목

    감면 내용

    비고

    취득세 감면 최대 140만 원 감면 4천만 원 초과 시 일부 차등
    등록세 취득세에 포함, 전기차 면제 자동 반영
    개별소비세 최대 100만 원 감면 2025년까지 연장
    교육세 개소세의 30% 면제 국세청 자동 적용

    ✅ ⑤ 실구매가 계산 예시

    항목

    금액

    차량 출고가 48,000,000원
    국고보조금 –6,000,000원
    경기 지자체 보조금 –2,500,000원
    취등록세(차량가액 7%) 3,360,000
    취득세 감면 –1,400,000원
    개소세 + 교육세 면제 –1,000,000원
    최종 실구매가 40,460,000원

    💡 정확한 취득세 계산은 위택스 취득세 계산기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