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
전기차 구매를 계획 중이라면, 보조금 금액 + 세금감면 혜택을 정확히 계산해야 합니다.
이 글에서는 국고보조금 + 지자체 보조금 + 취득세·등록세 감면까지 반영해 실제 구매가를 쉽게 계산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.
✅ ① 전기차 보조금 구조 요약
|
구분 |
설명 |
지급 주체 |
|---|---|---|
| 국고보조금 | 전국 공통, 차량 성능(효율·주행거리)에 따라 차등 지급 | 환경부 |
| 지자체 보조금 | 지역 예산에 따라 추가 지급, 지역별 차등 | 시·군·구청 |
💡 요약: 전기차 보조금 = 국고보조금 + 지자체 보조금
➜ 같은 차라도 사는 지역에 따라 지원금이 다릅니다.
📊 국고보조금 지원 기준 (2025년 기준 예시)
|
차량가 구간 |
보조금 지급 비율 |
예시 금액 |
|---|---|---|
| 4,000만 원 미만 | 100% | 약 565만 원 (기아 EV3 등) |
| 4,000만~5,500만 원 | 90% | 약 500만 원 |
| 5,500만~8,500만 원 | 50% | 약 300만 원 |
| 8,500만 원 이상 | 지원 제외 | - |

✅ ② 지자체 보조금 및 잔여 예산 확인
👉 무공해차 통합누리집(ev.or.kr) 접속
1) 상단 메뉴 "구매 및 지원" 클릭후 "구매조보금 지급현황" 클릭

2) 출고잔여 대수 확인 후 추경 버튼 클릭후 차량별 지원금 확인가능


지역 선택 : 시·도 → 시·군·구를 선택하면, 아래와 같이 보급대수 / 출고대수 / 잔여대수가 표시됩니다.
|
항목 |
설명 |
예시 |
|---|---|---|
| 총 보급대수 | 해당 지역 예산 기준 지원 가능 대수 | 800대 |
| 출고대수 | 현재까지 신청된 대수 | 745대 |
| 잔여대수 | 아직 신청 가능한 수량 | 55대 (잔여 있음) |
⚠️ 잔여대수가 ‘0대’면 보조금 예산이 소진되어 신청이 불가합니다.
잔여대수가 있으면 추경 버튼 클릭 -> 차종별 국고보조금 + 지자체보조금이 엑셀양식으로 정확히 나옵니다.
✅ ③ 차량별 국고 보조금 및 지자체 보조금 확인
👉 무공해차 통합누리집(ev.or.kr) 접속
1) 상단 메뉴 "구매 및 지원" → "구매보조금 지원" 클릭

2) 차량별 국고보조금 지원금액 확인 : "국고 보조금 " 클릭

3) 지역별 지자체 보조금 확인 : "지자체 보조금" 클릭

✅ ④ 취득세·등록세·개별소비세 감면 혜택
|
항목 |
감면 내용 |
비고 |
|---|---|---|
| 취득세 감면 | 최대 140만 원 감면 | 4천만 원 초과 시 일부 차등 |
| 등록세 | 취득세에 포함, 전기차 면제 | 자동 반영 |
| 개별소비세 | 최대 100만 원 감면 | 2025년까지 연장 |
| 교육세 | 개소세의 30% 면제 | 국세청 자동 적용 |
✅ ⑤ 실구매가 계산 예시
|
항목 |
금액 |
|---|---|
| 차량 출고가 | 48,000,000원 |
| 국고보조금 | –6,000,000원 |
| 경기 지자체 보조금 | –2,500,000원 |
| 취등록세(차량가액 7%) | 3,360,000 |
| 취득세 감면 | –1,400,000원 |
| 개소세 + 교육세 면제 | –1,000,000원 |
| 최종 실구매가 | 40,460,000원 |
💡 정확한 취득세 계산은 위택스 취득세 계산기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.
반응형
'자동차 세금&범칙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2025 기아 EV3 보조금 & 실구매가 총정리 (0) | 2025.09.08 |
|---|---|
| 2025 기아 EV5 보조금 & 실구매가 총정리 (1) | 2025.09.07 |